-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업의 신속한 디지털 전환과 함께 국민 일상까지 스마트화하기 위한 '스마트 해양수산 선도국가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스마트화 전략)'을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2.0(스마트화 전략 2.0)'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스마트와 전략'과 '스마트화 전략 2.0' 비교.©해양수산부2022.
2019년 수립한 '스마트화 전략'은 지난 2년간 해상물류, 수산, 해양관측 등 해양수산 전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초석이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화 전략'의 초기 성과를 더욱 확산시키고, 최근 급변하는 정책환경을 반영하기 위해 기존 추진전략을 수정하고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확대 개편한 '스마트화 전략 2.0'에서 인프라 도입을 넘어 산업 현장과 국민 일상을 바꾸는 실질적인 스마트화(급이∙수온조절을 자동화해 생산성을 한층 높인 스마트 양식장 등), 국민 관심사가 높은 근로자와 해양수산 시설물 안전 관리 강화, 범정부 디지털 전환에 맞춘 투자 확대와 내부 스마트화 역량 확보라는 3대 개선방향을 기반으로 신규과제를 발굴하여 추가하였다.
'스마트화 전략 2.0' 4개 분야
▲ 해상물류: 해상운송 체계 지능화 및 해상 물류서비스 혁신
▲ 수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산업의 외연 확장
▲ 해양: 국민의 삶 속에 스며드는 해양수산 스마트화
▲ 인프라: 안정적인 해양수산 스마트화 역량 확보
해양수산부는 '스마트화 전략 2.0' 내 4개 분야 12대 핵심과제가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매년 초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분기별로 점검할 계획이다.
▶ 보도자료 원문 (바로가기 클릭!)
<자료출처: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2022.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