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3월 양어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1만 2,085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5% 증가했다.
2018~2020년 동월 평균 생산량 8,583톤에 비해서도 40.8% 증가했다. <그림 1>
이 기간 조피볼락용, 기타 해산어류용, 새우용 등의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반면, 넙치용과 뱀장어용을 비롯한 내수면어류용 배합사료 생산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면서 전체 배합사료 생산량 증가세를 이끌었다.
이와 함께 2021년 1~3월 양어용 배합사료 누적 생산량은 2만 7,2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2% 증가했다.
어류용 | 전년비 넙치용 증가∙조피볼락용 감소
지난 3월 해산어류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 넙치용, 돔용, 방어용은 증가한 반면, ▲ 조피볼락용, 기타 해산어용은 감소했다.
1) 넙치용 – “종자 입식량 늘어 배합사료 생산량 증가세 전망”
지난 3월 넙치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2,290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47.2% 증가했다.
2018~2020년 동월 평균 생산량 1,504톤에 비해서도 52.3% 증가했다.
2021년 1~3월 누적 생산량 또한 4,562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했다.
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기준 넙치 육성물량은 1억 146만 마리로 전년 및 평년 동월 대비 각각 6.5%, 4.2% 증가했다. 크기별로는 체중 500 g 이상 크기의 경우 육성물량이 적은 가운데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반면 체중 500 g 미만 크기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까지 종자 입식량이 늘어나면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2021년 1~3월 종자 누적 입식량은 1,545만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81.1% 증가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예년보다 많은 수준의 입식이 지속되면서 출하가능물량도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넙치용 배합사료 생산량도 당분간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2) 조피볼락용 – “입식 수요 증가하나 종자 부족해 배합사료 생산량도 소폭 증가 예상”
지난 3월 조피볼락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448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33.2% 감소했다.
2021년 1~3월 누적 생산량도 1,056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3% 줄어들었다.
KMI 수산업관측센터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기준 조피볼락 육성물량은 1억 540만 마리로 전년 동월 대비 25% 감소했다. 해당 자료는 조피볼락 육성물량이 감소한 이유를
▲ 지난 몇 년간 종자 입식량이 지속적으로 줄어든데다,
▲ 코로나19 발생 이후 가정간편식이나 탕조리용 원료로 사용되는 작은 크기의 출하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KMI 수산업관측센터는 조피볼락 육성물량이 전년 및 평년 대비 적어 올해 종자 입식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종자생산업체 수가 평년보다 적은 탓에 실제 입식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따라서 조피볼락용 배합사료 생산량도 전년에 비해 소폭 증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새우용 |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비 25% 감소
지난 3월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507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25% 감소했다.
반면 2018~2020년 동월 평균 생산량 428톤에 비해서는 18.5% 증가했다.
2021년 1~3월 누적 생산량도 746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5% 감소했다.
전남 신안군에 따르면 올해 저수온 현상이 지속되면서 종자 입식시기가 평년에 비해 15~20일 정도 늦춰진 4월말부터 본격 시작됐다. 종자 입식시기가 지연되면서 올 1분기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도 전년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국내 최대 새우 양식생산지로 꼽히는 신안군의 올해 새우 양식생산량이 전년 대비 42.9% 증가한 6,000톤으로 예상되는 등 전반적으로 국내 새우 양식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배합사료 생산량도 증가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다만 지난해 충남, 전남 지역에서 발생한 새우 대량 폐사에 대한 원인 규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올해 역시 새우 질병 발생 여부가 배합사료 생산량 증감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림 1. 월별 양어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18~2021년 3월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2018~2021년 3월 배합사료 생산 및 가격통계', 그래픽: 아쿠아인포
표 1. 월별 넙치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18~2021년 3월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2018~2021년 3월 배합사료 생산 및 가격통계'
표 2. 월별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18~2021년 3월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2018~2021년 3월 배합사료 생산 및 가격통계'
<참고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2020/2021년 3월 배합사료 생산 및 가격통계', 2021. 5. 11. (바로가기 클릭!)
• KMI 수산관측 광어 2021. 4월호
• KMI 수산관측 우럭 2021. 4월호
• KMI 수산관측 우럭 종자 2021. 5월호